티스토리 뷰

반응형

골프 라운딩시 카트 도로에 관한 구제 PGA룰에 대해 포스팅 하였습니다.

2025년 현재, PGA 투어에서 적용되는 골프 규칙에 따르면, 카트 도로(Cart Path)는 **인공 장애물(immovable obstruction)**로 분류되며, 이에 따라 플레이어는 특정 조건 하에 **무벌타 구제(relief without penalty)**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규정은  PGA 투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카트도로 구제 룰


1. 카트 도로의 정의와 구제 대상

1.1 카트 도로의 정의

카트 도로는 골프장에서 골프 카트의 이동을 위해 포장된 도로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아스팔트, 자갈 등으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도로는 자연 상태가 아니므로, 골프 규칙에 따라 인공 장애물로 간주됩니다.

1.2 구제 대상

카트 도로 위에 공이 놓였거나, 카트 도로가 플레이어의 스탠스, 스윙, 또는 공의 낙하지점에 영향을 미칠 경우, 플레이어는 무벌타로 구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공이 카트 도로와 전혀 관계없는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구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2. 무벌타 구제 절차

2.1 구제 지점의 결정

플레이어는 카트 도로로부터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Nearest Point of Complete Relief, NPCR)**을 찾아야 합니다. 이 지점은 카트 도로로부터의 간섭이 전혀 없는 위치여야 하며, 공이 드롭될 구역은 이 지점에서 한 클럽 길이 이내여야 합니다.

2.2 드롭 절차

구제 지점을 결정한 후, 플레이어는 해당 지점에서 무릎 높이로 공을 드롭해야 합니다. 드롭된 공이 구제 구역 내에 멈추지 않으면, 동일한 위치에서 재드롭하거나, 두 번 모두 실패할 경우에는 원래 위치에 공을 놓고 플레이해야 합니다.


3. 카트 도로에서 공을 플레이하는 경우

플레이어는 카트 도로 위에 있는 공을 그대로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공이 도로 위에 놓여 있어도 규칙 위반이 아닙니다. 그러나 도로는 단단하고 클럽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플레이어는 구제를 선택합니다.


4. 로컬 룰(Local Rule)의 적용

일부 골프장에서는 카트 도로와 관련된 로컬 룰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카트 도로가 러프를 관통하여 지나갈 경우, 도로 위 공은 무조건 구제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로컬 룰은 해당 골프장의 스코어카드나 클럽하우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결론

카트 도로는 골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인공 장애물로서 플레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플레이어는 카트 도로로 인한 간섭을 받았을 경우, 규정에 따라 무벌타로 구제를 받을 수 있으며, 구제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로컬 룰의 적용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여 불필요한 혼란을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플레이중  무벌타 드롭(Free Relief) 가능한 주요 상황 정리

1. 이동 불가능한 인공 장애물 (Immovable Obstruction) – 규칙 16.1

  • 예: 카트 도로, 스프링클러 헤드, 벤치, 배수구, 고정된 표지판
  • 공이 해당 구조물 위에 있거나, 스탠스 또는 스윙에 간섭할 경우

 2. 수리지역 (Ground Under Repair, GUR) – 규칙 16.1

  • 하얀 스프레이 라인으로 표시된 구역
  • 예: 배수 작업 중인 땅, 잔디 보수 중, 패치된 흙
  • 공이 수리지역에 있거나, 스탠스/스윙 간섭 시 구제 가능

 3. 동물에 의한 손상 (Animal Hole) – 규칙 16.1a(1)

  • 예: 두더지굴, 뱀구멍, 토끼 굴 등
  • 동물의 활동으로 생긴 구멍, 흔적, 파인 자국이 공 주변에 있을 때

 4.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 (Abnormal Course Condition) – 규칙 16.1

  • 위 1~3번 포함
  • 추가로 예: **고여 있는 물(Temporary Water)**이 해당됨
    • 예: 폭우 후 고인 물 위에 공이 놓인 경우, 스탠스 시 발이 젖는 경우

 5. 지면 고정 개체에 간섭 (Fixed Object Interference on Putting Green) – 규칙 13.1f

  • 퍼팅 그린 위 공의 라인에 고정된 물체가 간섭하는 경우
  • 예: 홀 근처 배수 뚜껑, 스프링클러 헤드

6. 임시 이동 장애물 (Temporary Immovable Obstruction, TIO) – 규칙 16.1f

  • 대회 중 설치된 TV 타워, 광고판, 텐트 등
  • 간섭이 있을 경우, 특별한 구제 절차를 따름

7. 위험한 상황 (Dangerous Animal Condition) – 규칙 16.2

  • 예: 벌집, 뱀, 악어 등으로 인해 플레이가 위험할 경우
  • 심판이 플레이어 안전을 우선시하여 구제 허용 가능

 8. 임의로 움직일 수 없는 공 (Embedded Ball) – 규칙 16.3

  • 공이 자신의 피치 마크(낙하 자국)에 박혀있을 경우
  • 일반구역(Fairway 포함)에서는 무벌타 드롭 가능
  • 단, 벙커 또는 러프에서는 일부 제한 있음

9. 공이 깃대를 맞고 고정된 경우 (Flagstick Interference) – 규칙 13.2

  • 퍼팅 그린에서 공이 깃대에 기대어 멈춘 경우
  • 홀의 립에 닿았는지 여부에 따라 드롭 없이 또는 드롭 후 처리

10. 다른 플레이어의 장비나 공에 방해받는 경우 – 규칙 15.2a(1)

  • 공이 다른 사람의 클럽, 공, 장비 위에 멈췄거나 아래에 위치
  • 해당 장비를 제거하고 무벌타 드롭 가능

 11. 다른 구역으로 잘못 떨어진 경우 (예: 티잉 구역 외 드롭) – 규칙 14.3

  • 볼을 드롭했지만 구제 구역 밖으로 굴러 나간 경우
  • 같은 방식으로 다시 드롭 (2회까지 무벌타)

12. 공이 본인의 장비에 명확히 의해 멈췄을 때 (예외적 상황) – 규칙 11.1

  • 볼이 본인의 카트, 클럽, 가방 등에 맞고 정지한 경우
  • 대부분의 경우 벌타 없음, 다만 드롭은 특정 조건에서 허용됨

 무벌타 구제 불가 상황 (벌타 또는 무구제)

  • 공이 나무 밑에 있어 스윙이 불편한 경우 (단순 불편함)
  • 카트 도로에서 구제했더니 벽 뒤에 가려졌다고 다시 구제 요구하는 경우
  • 공이 OB(아웃 오브 바운즈)에 갔거나 분실된 경우 → 1벌타 + 다시 쳐야 함

드롭시 주의사항 요약

  • 무릎 높이에서 드롭
  • 반드시 구제 구역 안에서 드롭하고 정지해야 함
  • 구제 구역은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에서 한 클럽 길이 이내
  • 퍼팅 그린 위라면 **볼을 놓기(place)**도 허용됨